닫기

尹 ‘운명 공동체’ 강조했지만…한동훈과 관계 회복 ‘숙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koreanwave.asiatoday.co.kr/kn/view.php?key=20240723010014654

글자크기

닫기

홍선미 기자

승인 : 2024. 07. 23. 17:14

여소야대 정국, 노동·연금·교육·의료 개혁 과제 줄줄이
대통령실 "호흡맞춰 국정 수행"·"전략적 공생 가능성도"
"韓 '수정 채상병 특검법' 추진 갈등 불씨 될 수도"
윤석열 대통령, 한동훈 당대표 후보와 인사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 입장하며 한동훈 당대표 후보와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참석해 '당정 운명공동체'를 강조했지만, 한동훈 새 당대표와의 관계 회복은 풀기 어려운 숙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이번 전대에 거리를 두며 당무 개입 논란을 차단하려는 모습을 취했지만, 한 대표의 김건희 여사 문자 읽씹(읽고 답하지 않음) 논란이 큰 파장을 일으키며 대통령실과 한 대표 사이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여기에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이 두 번이나 재의요구(거부권)한 '채상병 특검법'에 동조하는 모양새를 취하며 당내 친윤(친윤석열)대 친한(친한동훈) 구도는 짙어졌다. 이 때문에 윤 대통령과 한 대표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현재 권력인 윤 대통령과 미래 권력인 한 대표의 충돌은 자연스럽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하지만 이번 당 대표 선출을 기점으로 분열된 당을 수습하고, 당정 관계를 일사불란하게 재정립해야 한다는 것은 여당 지지자들 사이에 이견이 없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거대 야당이 정부 정책 추진에 제동을 거는 것을 넘어 김 여사 특검, 윤 대통령의 탄핵을 공공연히 언급하는 상황에서 당정 갈등은 공멸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당 안팎에서 나온다.

당내 분열이 심화되면 윤정부의 성공을 장담할 수 없고, 다음 정권 재창출도 멀어질 수 있다는 시각이다.

윤 대통령이 이날 현장 축사를 통해 "우리는 한배를 탄 운명 공동체" "우리는 하나" "원팀" 등을 거듭 강조한 것 역시 맥을 같이 한다.

대통령실 역시 전당대회 전 부터 "(전대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 안 된 분들 위로해 주고 잘 된 분들과 같이 합을 맞춰서 국정을 이끌어 나가는 게 대통령실 입장이다. 끝나고 모두 악수하고 다 풀고 당정 간에 또 당정청 같이 호흡을 맞춰서 국정을 잘 수행해야 한다"고 밝혀 왔다.

윤석열 대통령, 국민의힘 전당대회 축사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오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4차 전당대회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임기 중반기로 접어든 윤 대통령은 여당과의 협력으로 국정 과제에서 성과를 내는 것이 절실한 상황이다. 교육·연금·노동·의료 개혁을 위해 여당이 전적으로 대통령실과 정부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

30% 초반대에 묶여 있는 윤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을 회복을 위해서도 당정이 소통하고 화합하는 자세를 보여줘야 한다.

다만 한 대표의 '채상병 특검법' 추진은 갈등의 불씨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 대표는 당권에 도전하며 범야권 단독으로 발의한 채상병 특검법 대신 대법원장 등 제3자가 추천한 새로운 특검법을 제안한 바 있다.

한 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김 여사 명품백 논란, 황상무 시민사회수석 회칼 테러 발언 논란, 이종섭 국방장관 호주대사 임명 논란 등에 대해 "국민의 눈높이"를 강조하며 윤 대통령과의 관계가 소원해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양측의 갈등은 언제든 재점화될 수 있다는 시각이다.

한 대표가 차기 대권 도전을 염두에 둔 만큼 국민의 눈높이를 강조하며 윤 대통령과 차별화에 나선다면 양측은 갈등을 넘어 충돌 양상까지 빚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한 대표는 지난달 23일 출마선언을 하며 당정 관계에 대해 "지금 우리가 눈치 봐야 할 대상은 오로지 국민"이라고 하며 수평적 당정을 강조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의 임기가 3년 가까이 남아 국정 동력 확보가 절실하고, 한 대표는 당 장악이라는 과제가 절실한 만큼 양측이 대립보다 전략적 공생 관계 선택할 것이라는 전망도 일각에서 나온다.
홍선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