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본격화되는 한·중·프·러의 ‘카자흐 원전’ 수주 전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koreanwave.asiatoday.co.kr/kn/view.php?key=20241028010015175

글자크기

닫기

김민규 아스타나 통신원

승인 : 2024. 10. 28. 11:36

clip20241028050722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원전 건설 추진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에 참석해 투표하고 있다. /카자흐스탄 대통령실
카자흐스탄 남부 지역 발하쉬 호수 일대에 추진키로 한 새 원자력 발전소 건설이 국민투표 결과 70%에 달하는 압도적 찬성으로 결정된 가운데 한국과 프랑스, 중국, 러시아 간의 치열한 원전 수주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일찍이 카자흐스탄 당국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을 포함해 중국의 CNNC(중국국가원자력공사), 프랑스 EDF(전력공사), 러시아의 로사톰(Rosatom) 등 원전 건설 발주에 참여할 총 4개 업체 명단 공개함과 동시에 2035년 완공을 목적으로 100억~120억 달러의 예산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카자흐스탄 원전 건설에 대한 최종 승인은 내년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지 내 대세론은 러시아의 로사톰이었다. 과거 소련 시절부터 이어진 통일된 행정시스템과 더불어 카자흐스탄 원자력 분야 인사들은 대부분 모스크바 유학파 출신들로써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이미 공존하는 러시아-카자흐스탄 에너지 협력 체계도 무시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하지만 카자흐스탄이 과거 소련 시절 첫 핵실험이 실시됐던 곳이라는 점은 변수다. 소련이 실시한 715회의 핵실험 중 456회가 카자흐스탄 북부 세미팔라틴스크에서 이뤄졌고, 소련 해체 직전인 1990년까지도 핵실험이 실시된 까닭에 러시아 원전 기술 안정성에 대한 기본적인 국민적 불신임 여론이 만만치 않다.
카자흐스탄이 국민투표까지 치뤄가면서 원전 건설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 것은 이 때문이다. 여기에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IAEA(국제원자력기구) 승인 문제도 불확실성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러시아 로사톰은 최근 튀르키예에 진행 중인 원전건설 모델(로사톰이 건설과 자금조달을 맡고 터키가 국제인증을 받는)을 카자흐스탄 정부에게 타진함과 동시에 자국 정부를 통한 정치적 압박도 가하고 있는 것으로 현지 언론은 지목했다.

카자흐스탄 일간 카즈테그지에 따르면 러시아 당국은 이날 열린 제 25차 러-카 정부협력위원회에서 원자력 에너지 분야 협력 의제 확정 요구했으며 동시에 카자흐스탄에게 공급되는 천연가스 공급량 확대 가능성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의 로사톰과 더불어 원전수출 양대산맥이라 평가받는 프랑스도 적극적으로 수주 로비에 임하고 있다. 지난해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을 방문해 우라늄과 더불어 에너지 및 경제협력 확대에 합의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후 러시아와 중국의 영향력을 벗어나고 서방과의 협력을 확대하려는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전략적 목표에도 부합하기에 카자흐스탄 내 많은 원자력 전문가들도 "프랑스와의 협력은 건설 비용이 타 국가에 비해 가장 비싸지만 정치적 요인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중국은 빠른 추진력과 저렴한 가격을 경쟁력으로 내세우고 있다. 지난 8월 리유동 중국 CNNC 부국장은 1.2GW 원자력 발전소 1기 건설에 200억 위안(약 4조원)이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로사톰이나 프랑스 EDF에 비해 절반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 기간도 5년을 제안했다. 이는 평균 원전건설 공기인 7년보다 빠른 편에 속한다.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도 타진되고 있다. 이날 알마사담 사트칼예프 카자흐스탄 에너지부 장관은 의회보고에서 한국기업들과의 협력 가능성을 타진 중에 있다고 밝혔다. 사트칼예프 장관에 의하면 지난 22일부터 25일까지 카자흐스탄 대표단을 한국으로 파견해 두산에너지, 한수원, 한국전력공사, 한국석유공사, 삼성물산 대표자들과 협상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에는 사트칼예프 장관을 포함해 탈가트 카라세프 국제협력국 국장, 구마르 세르가진 원자력 산업국 국장, 티무르 잔티킨 신규 원전 발전소 총국장이 동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규 아스타나 통신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