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지난해 미 무역수지 적자 9184억달러, 사상 최대...상품수지 적자, 서비스수지 흑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koreanwave.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06010002670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2. 06. 04:51

지난해 미 무역수지 적자, 17% 증가 9184억달러, 사상 최대
GDP의 3.1%...상품수지 적자, 1조2117억달러
서비스수지 흑자 2933억달러
미 나홀로 호경기, 달러화 강세에 구매력 급증, 제조업 경쟁력 약화
USA-ECONOMY/
중국 화물선으로 보이는 컨테이너 선박이 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항구를 향해 접근하고 있다./로이터·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2024년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가 9184억달러로 전년 대비 1335억달러(17%) 증가했다고 미국 상무부가 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적자 규모는 사상 최대다.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현재 달러 기준 2024년 국내총생산(GDP)의 3.1%로 2023년 2.8%에서 상승했다.

지난해 미국의 수출은 3조1916억달러로 전년보다 1198억달러(3.9%) 늘었으나, 수입이 4조1100억달러로 2533억달러(6.6%) 늘면서 무역수지 적자 증가의 원인이 했다. 이 가운데 상품수지 적자는 2023년 대비 1485억달러(14%) 늘어난 1조2117억달러를, 서비스수지 흑자는 149억달러(5.4%) 늘어난 2933억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미국의 상품수지 적자는 지난해 경제 성장률이 2.8%로 전 세계 주요 정책 입안자들이 다른 세계 경제와 비교해 '나 홀로 강력하다'며 '예외론(exceptionalism)'을 제기할 정도로 높았고, 지난해 11월 5일 대통령 선거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하면서 달러화 강세 추세가 더 강해지면서 미국 소비자들의 구매력은 급증한 반면, 제조업 경쟁력은 떨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 미국의 서비스수지 흑자에는 비즈니스·재무 자문과 같은 서비스 매출과 외국인의 미국 여행 지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것이 작용했다.

2024 미 무역수지
2020~2024년 미국의 상품·서비스 수출·수입 통계./미국 상무부 경제분석국(BEA) 자료 캡처
교역 국가별로 보면 중국과의 무역에서 적자 폭이 2954억달러로 가장 컸다. 이어 유럽연합(EU·2356억달러)·멕시코(1718억달러)·베트남(1235억달러)·아일랜드(867억달러)·독일(848억달러)·대만(739달러)·일본(685억달러)·한국(660억달러) 순이었다.

한편 지난해 12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는 984억달러로 전월 대비 195억달러(24.7%) 증가했다. 적자 폭은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968억달러 적자)를 웃돌았다.

수출이 2665억달러로 전월 대비 71억달러(-2.6%) 줄었는데, 수입은 3649억달러로 전월 대비 124억달러(3.5%) 늘면서 무역수지 적자가 커졌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