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직한 국면 아니라고 보는 듯
압박 강화할 가능성 상당히 농후
|
외교부가 한중 2+2 외교안보대화 관련 보도자료를 한국보다 16시간 늦은 19 오후 발표하면서 "북러는 우호적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을 위한 정상적 필요가 있다. 관련 고위급 왕래는 두 주권 국가의 양자 일정"이라는 원론적 언급만 한 사실 역시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신화(新華)통신을 비롯한 관영 매체들의 자세도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북러 관계 강화가 양국 모두에게 큰 전략적 의미를 가진다고 해석하기는 했으나 자국에 미칠 영향과 관련한 분석은 하지 않았다.
중국의 속내와 심기가 복잡, 불편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그동안 나타났던 몇 가지 징후를 살펴봐도 잘 알 수 있다. 영국 BBC방송에 따르면 우선 지난달 방중했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일각의 관측과 달리 북한으로 향하지 않고 곧장 귀국한 사실을 꼽아야 한다.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푸틴 대통령이 베이징에서 곧바로 평양으로 향하는 것을 극도로 꺼려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충분히 가능하다.
최근 자국 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흔적 지우기에 나선 행보도 거론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8년 김 위원장이 방중,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이후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 해변에 남겨진 양 정상의 발자국 동판이 최근 제거된 사실을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앞으로는 더욱 이와 유사한 조치가 이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농후하다고 단언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문제는 향후 중국의 복잡, 불편한 속내와 심기가 더욱 노골적인 대북 압박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사실이 아닐까 싶다. 이 경우 중국이 수만여 명의 북한 노동자들에 대한 일제 송환 카드도 꺼내들지 말라는 법이 없다. 찔끔찔끔 해오던 경제 원조 역시 끊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양측의 사이는 더욱 나빠질 수밖에 없게 된다. 북한으로 볼 때는 러시아와의 밀착이 신의 한 수가 된 것은 사실이나 중국이라는 원군을 잃는 아픔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말이 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