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박근혜 대통령 “한강 기적 넘어 한반도 기적 만들자”(종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koreanwave.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816010007800

글자크기

닫기

김종원 기자

승인 : 2015. 08. 16. 08:13

남북통일, 창조경제, 문화융성, 노동 공공 교육 금융 4대 구조개혁 강조...6만명 남한 이산가족 명단, 북한에 일괄 전달 전격 제의...아베 담화 아쉽지만 역대 내각 역사 인식 계승 '주목', "위안부 문제 조속 해결"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광복 70주년 경축사에서 남북통일과 창조경제, 문화융성, 4대 구조개혁을 통해 ‘한강의 기적’을 넘어 ‘한반도의 기적’을 이뤄 나가자고 강조했다. 또 박 대통령은 분단 70년을 맞는 올해 가장 시급한 인도적 차원인 이산가족 문제 해결의 첫걸음으로 6만 여명의 남한 이산가족 명단을 북한 측에 일괄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침략 강점을 통해 35년 동안 우리에게 씻을 수 없는 역사적 상처와 아픔을 준 일본에 대해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조속히 합당하게 해결하기를 바란다고 다시 한번 촉구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광복절 70주년 중앙경축식에 참석해 경축사를 통해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5030 클럽’ 진입과 함께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 방향, 대북·대일 정책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무엇보다 박 대통령은 대한민국이 분단의 비극과 전쟁의 잿더미 역사 속에서도 “수출 규모 세계 6위의 경제 강국으로 우뚝 섰다”면서 “인구 5000만 이상 되는 국가 중에 국민 소득이 3만 달러를 넘는 ‘5030 클럽’에 머지않아 일곱 번째 국가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우수한 국민적 저력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의 두 날개를 완성시켜야 한다”면서 “이미 4600여명이 멘토링을 받고 200여개의 기업을 보육하고 있으며 235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창조경제를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 적극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창조경제와 함께 우리 경제를 일으키는 다른 한 축으로 문화융성 정책을 역설하면서 “문화창조융합벨트를 통해 문화와 아이디어, 기술을 융복합해 새로운 경제적 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추진해 나갈 것”이라면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이 경제의 도약을 이끌 성장엔진이라면 공공과 노동, 금융, 교육 4대 개혁은 그 성장엔진에 지속적인 동력을 제공하는 혁신의 토대”라면서 “반드시 4대 개혁을 완수해 미래 세대에게 희망의 대한민국을 물려줄 것”이라며 국민적 힘의 결집을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올해가 광복 70주년과 함께 분단 70년을 맞는 특별한 해인 점을 언급하면서 북한에 대해 “진정한 광복은 민족의 통일을 통해 비로소 완성된다”면서 “남과 북은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고 미래를 향해 함께 나가야 한다”며 북한이 하루 빨리 평화 통일의 길로 나올 것을 강력 촉구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이산가족 문제만큼은 아무리 정세가 어렵고 이념이 대립한다고 해도 인도적 견지에서 남북이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찾아야 한다”면서 “이산가족들의 생사확인이 그 첫걸음이 될 것이며 이를 위해 6만여 명의 남한 이산가족 명단을 북한 측에 일괄 전달할 것”이라고 전격 제의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도 이에 동참해 남북 이산가족 명단 교환을 연내에 실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나아가 남북 이산가족들이 금강산 면회소를 이용해 수시로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북한의 협력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35년 간 침략 전쟁으로 우리를 강점했던 일본 정부에 대해서는 전날 발표한 종전 70년 ‘아베 담화’와 관련해 “1965년 국교정상화 이래 고노·무라야마 담화 등 역대 일본 내각이 밝혀온 역사 인식은 한·일 관계를 지탱해 온 근간”이라면서 “그러한 점에서 아베 총리의 전후 70주년 담화는 아쉬운 부분이 적지 않은 것이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박 대통령은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 국민들과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많은 고통과 손해를 준 데 대한 사죄와 반성을 근간으로 한 역대 내각의 입장이 앞으로도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국제사회에 분명하게 밝힌 점은 주목한다”면서 “특히 일본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조속히 합당하게 해결하기를 바란다”고 거듭 촉구했다.
김종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