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주관사 미달 물량 의무보유에…IPO 시장 위축 우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koreanwave.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122010012103

글자크기

닫기

유수정 기자

승인 : 2025. 01. 22. 18:40

확약 물량 미달 시 공모물량 1% 취득, 6개월 보유
증권업계, 제도 공감에도 "수익성 악화는 변수"
단기차익 목적의 투자가 주를 이루는 기업공개(IPO) 시장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대대적인 제도 개편에 나섰다. 특히 중·장기 투자자 역할이 기대되는 기관투자자가 기업 가치평가를 기반으로 신중하게 수요예측에 참여하고 투자할 수 있도록 의무보유 확약 우선배정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문제는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중 확약 물량이 40%를 미달할 경우 주관사가 공모물량의 1%를 취득해 6개월간 보유해야 하는 제도가 증권사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증권사들은 제도의 실효성 차원에서는 공감하지만, 수익성 악화로 이어져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22일 한국거래소와 금융정보분석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해 IPO로 공모를 진행한 77곳 중 이전상장이나 스팩합병을 제외한 73곳의 공모가 대비 지난 21일 종가는 평균 7.9% 하락했다. 주식분할이나 무상증자 권리락 등의 이슈로 주가가 조정된 에이피알, 삼현, 노브랜드 등 3개 종목은 수정 공모가를 적용해 산출한 수치다.

해당 기간 공모가보다 주가가 오른 곳은 전체 73곳 중 19곳(26.0%)에 불과했다. 54곳(74.0%)은 공모가 대비 종가가 하락했다. 상장 당일 종가가 공모가를 하회한 기업도 23곳(31.5%)이나 됐다.

이는 진입 과정에서 기업가치 산정이 고평가된 탓에 상장 첫날 주가가 공모가를 밑돌게 된 것은 물론, 단기차익 투자 위주로 운영되고 있는 IPO 시장의 특성에 상장 이후 지속해서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데 따른다.

실제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77개 IPO 종목 중 74개에서 상장 당일 기관투자자의 순매도가 발생했다. 중·장기 투자자 역할을 해야 할 기관투자자조차 차익 실현을 위해 상장 직후 대규모 매도를 단행해 시장을 혼란에 빠뜨린 것이다. 이 같은 단기차익성 투자는 수요 예측 과열을 촉발하기 때문에 적정 공모가 산정까지 저해시킬 우려가 크다.

이와 관련해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현재 IPO시장에는 수요예측 과열, 상장 초 주가하락, 공모가 고평가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며 "특히 수요예측 참여기관 규제 완화로 기관투자자가 많이 증가했는데 이는 수요예측 단계부터 공모주의 과열 양상을 초래한다"고 말했다.

또 "통상적으로 상장 1~3개월 차에 공모주의 주가 하락 현상이 두드러진다"며 "이는 상장 초 공모주에 대한 과열된 투자심리와 단기매도 현상 탓"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당국은 공모가와 상장일 이후 주가 흐름에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IPO 종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칼을 빼 들었다. 현재 단기차익 목적의 투자에서 기업가치 기반의 투자 중심으로 합리화 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이 중 눈길을 끄는 것은 기관투자자의 의무보유 확약 우선배정제도를 도입하는 점이다. 기관투자자가 단기매도를 지양하고 기업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신중하게 수요 예측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중 40% 이상을 확약 기관투자자에게 우선 배정하는데, 확약 물량이 미달할 경우 주관사가 공모 물량의 1%를 취득해 6개월간 보유해야한다.

그러나 이는 주관사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IPO 전반의 위축도 우려된다. 이에 증권업계에서는 제도의 실효성 제고 차원에서는 동의하지만,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경우 시장 전반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유승창 KB증권 ECM본부장은 "기관투자자 의무보유 확약에 따라 주관사는 보수적으로 IPO를 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IPO 물량 공급 감소가 이어지면 모험자본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장이 좋을 때는 상관이 없지만, 리스크가 클 때는 주관사에 부담이 커진다"며 "주관사가 IPO로 인해 수익성이 나빠지면 인력 유치라던지 임직원 근속기간(리텐션) 등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어려움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유 본부장은 "이는 IPO 전반의 퀄리티 저하로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이를 조금 고려해 줄 수 있는 방안도 나오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유수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