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코로나 재유행에도 격리 방침 ‘제각각’… 워킹맘은 또 웁니다

코로나 재유행에도 격리 방침 ‘제각각’… 워킹맘은 또 웁니다

기사승인 2024. 08. 19. 17:56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사업체별로 재택·출근 지침 다르고
개학 시즌 학생들은 자택격리 필수
신규 입원 확진자 한 달새 9배 껑충
이달 말 최대 35만명 환자 발생 우려
치료제 구매 예비비 3268억 긴급편성
코로나19가 재유행하면서 회사마다 격리 지침이 다르게 적용돼 직장인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정부 당국이 코로나19 엔데믹을 선언하면서 격리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면역력이 낮고 확산의 속도가 빠른 학교에선 여전히 자택 격리를 요구하고 있어 다른 규정 차이로 워킹맘들의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가파른 코로나19 확산세에 대한 시민들의 공포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추가 치료제 구매를 위한 예비비를 긴급 편성하는 등 대책 마련에 돌입했다.

1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이달 둘째 주 코로나19 신규 입원환자는 1357명으로 올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둘째 주만 해도 148명이었던 확진자 수가 한 달 새 9배 이상 뛰었다. 치료제 사용량은 6월 4주차 1272명분에서 7월 5주차 약 4만2000명분으로 33배 늘어났다.

방역당국은 확산세가 이대로 이어진다면 이달 말에는 지난해 최고 유행 수준인 주당 35만명의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19는 올 5월 위기단계가 '경계'에서 가장 낮은 단계인 '관심'으로 하향되면서 정부는 엔데믹을 선언했다. 하지만 기업들은 격리와 관련해 각기 다른 방침을 적용하고 있어 직장인들과 워킹맘들은 일관된 대응을 하지 못해 난감한 상황을 겪고 있다.

서울의 한 중소기업에 다니는 직장인 이모씨(38)는 최근 코로나19에 확진됐지만, 회사의 지침에 따라 출근했다.

이씨는 "회사에서는 격리 의무가 없어져 코로나 확진 판정 받았어도 마스크 착용을 요구하면서 출근하라고 했다"며 "그런데 주변 직장인들은 회사 지침이 달라서 재택근무를 한다고 들어 혼란스럽다"고 말했다.

정부가 코로나19 검사 비용을 지원하지 않으면서 개인 검사 비용 부담이 크게 늘었고, 확진 판정을 받아도 휴가를 내기 어려운 탓에 진단 자체를 포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직장인 정모씨(35)는 "양성 판정이 나오면 과거와 달리 개인 연차를 써야 하고, 진료비도 전부 내야 해서 차라리 검사를 받지 않기로 했다"며 "코로나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이 커서 아프더라도 참고 일하려 한다"고 말했다.

특히 자녀를 둔 워킹맘은 '돌봄' 부담이 커졌다. 교육부는 최근 학생들이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날 경우 등교하지 않아도 출석을 인정해 주기로 했다. 만약 자녀들이 확진되면 집에서 격리되기 때문에 워킹맘들은 하루 종일 아이를 돌봐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직장인 김모씨(39)는 "딸과 함께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회사에서는 연차 사용을 달가워하지 않아 출근해야 하는데 딸은 등교하지 못하고 혼자서 집에 있어야 해 급하게 아이를 돌봐줄 사람을 찾아야 해 난감하다"고 토로했다.

엔데믹을 선언했지만 코로나19가 예상보다 가파르게 확산세를 보이면서 시민 불안은 커지고 있다. 시민 박모씨(33)는 "코로나19는 제대로 된 치료제도 없고, 백신을 또 맞아야 하는지 걱정된다"며 "국민들이 불안하지 않도록 감염병 확산에 대비해 정부가 미리 모니터링하고 준비했어야 하지 않았나 싶다"고 불안해했다.

정부는 갑작스러운 코로나 재유행으로 치료제 추가 구매를 위한 예비비 3268억원을 이날 긴급 편성했다. 이는 치료제 약 26만2000명분을 구매할 수 있는 금액이며, 오는 10월까지 고위험군에게 안정적으로 공급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앞으로도 지속될 감염병 확산에 대비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엔데믹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이나 손씻기 같은 생활 습관이 자리 잡지 않는다면, 정부 차원에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며 "아프면 충분히 쉴 수 있는 상병수당 제도와 같은 법적·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