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물 부족 위험 극복해야”

기사승인 2024. 09. 05. 10:54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경기연구원, 2035년 한강에는 더 이상 이용가능한 물이 없다
경기도,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클러스트 조성사업’ 용수 공급대책 필요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공업용수 수요량 및 부족량 예측 현황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공업용수 수요량 및 부족량 예측 현황/경기연구원
경기 용인시 일대에서 추진되고 있는 세계 최대 '반도체 메가클러스트 조성사업'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용수 공급대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5일 '한강에 이용가능한 물이 없다'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된 용인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약 700조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192만개의 직·간접 일자리 창출이 기대되나 메가클러스터의 공업용수 수요는 1일 170만㎥에 이르는 반면 현재 공급 가능한 수자원량은 50% 미만에 불과하다.

한강 유역에 위치한 10개의 댐 중 팔당상수원의 수자원 공급에 기여하는 댐은 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 등 3개의 댐이다.

국가수도기본계획에 따르면 이들 3개 다목적댐의 1일 용수 공급 능력은 총 1096.8만㎥에 이른다. 충주댐이 68.2%를 차지하고 소양강댐이 30.0%, 횡성댐이 1.8%를 차지하고 있다.

2035년을 기준으로 팔당댐 및 상류지역에서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은 65만㎥/일 정도로 정부에서 추진하는 '반도체 메가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위한 공업용수 수요량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는 것이 경기연구원측의 분석이다.

경기연구원 관계자는 "정부는 발전 전용 댐인 화천댐을 다목적댐으로 전환해 용수를 공급할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며 "하지만 화천댐의 다목적화는 유입 유량이 북한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감안할때 잠재적인 리스크가 존재한다. 반도체산업의 경쟁력은 절대적 생산량으로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에 따라 증설계획을 포함시킬 경우 공업용수 부족량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고 했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경기도의 안정적인 용수 공급을 위한 전략으로 △지역 맞춤형 물 수요 관리 계획 수립으로 경기도의 용수공급 회복탄력성 확보 및 지속가능발전 촉진 △안정적 용수공급이 가능한 지역 여건에 맞는 신규 수자원 확보 방안 검토 △경기도 민선 8기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및 경기북부 대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한탄강댐을 이수 목적용 댐으로 전환하는 방안 논의 △경기 남서부 지역의 안정적인 공업용수 공급을 위해 용인 이동저수지를 개량해 공업용수 전용 댐으로 전환 방안 검토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한강유역 지자체 간 협력체계 구축 등을 제시했다.

조영무 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물이용 계획을 마련해 지자체가 증가하는 용수 수요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며 "지리적 특성을 고려한 신규 수자원 확보 방안으로서 한탄강댐의 다목적화와 이동저수지의 공업용수 전용댐 활용이 검토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용수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와 수도 기반시설에 대한 협력체계 구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도 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